고양이의 모든것

고양이 치주질환: 증상, 예방 및 치료

고먐미맘 2025. 2. 25. 00:16



  반려묘의 입에서 나는 불쾌한 냄새로 고민하신 적이 있으신가요? 단순한 입냄새로 넘기기에는 고양이의 구강 건강은 전체 건강과 밀접하게 연결되어 있습니다. 놀랍게도, 3세 이상 고양이의 약 70%가 어떤 형태로든 치주질환을 경험한다고 합니다. 이 심각한 수치는 많은 반려인들이 고양이의 치아 건강을 간과하고 있다는 증거입니다.

  이 글에서는 고양이 치주질환의 원인부터 예방, 치료까지 반려인이 알아야 할 모든 정보를 과학적 근거와 함께 알아보겠습니다.

 

목차
1. 고양이 치주질환이란?
2. 치주질환의 주요 원인
3. 반려인이 알아차릴 수 있는 증상들
4. 치주질환의 단계별 진행 과정
5. 치주질환이 고양이 건강에 미치는 영향
6. 예방을 위한 일상 관리법
7. 전문적인 치료 방법과 비용
8. 치주질환에 관한 흔한 오해들

 

 

 

 

1. 고양이 치주질환이란?


치주질환(Periodontal disease)은 고양이의 잇몸과 치아를 지지하는 조직의 염증성 질환입니다. 

[미국 수의치과협회(AVDC)](https://avdc.org/)에 따르면, 이 질환은 단순한 잇몸 염증(치은염)부터 심각한 치아 손실을 초래하는 치주염까지 다양한 단계로 진행됩니다.

치주질환은 초기에 발견하면 회복 가능하지만, 방치할 경우 비가역적인 손상을 일으키고 심각한 통증을 유발할 수 있습니다. 특히 고양이는 통증을 숨기는 경향이 있어 증상이 뚜렷하게 나타날 때는 이미 상당히 진행된 경우가 많습니다.

 

 

 

2. 치주질환의 주요 원인

 

치태와 치석 형성

치주질환의 주요 원인은 치태(플라크)입니다. 치태는 음식물 잔여물, 타액, 박테리아로 구성된 끈적끈적한 막으로, 시간이 지나면 치석으로 굳어집니다.

 


*코넬 대학교 수의과대학의 연구에 따르면, 치석이 형성되는 과정:

 

먹이를 먹은 후 4-12시간 내에 치태 형성 시작


약 3일 이내에 미네랄 침착으로 치석으로 변환


치석은 일반적인 칫솔질로 제거 불가능

 

 

 

유전적 요인

 

일부 고양이 품종은 치주질환에 더 취약합니다:


- 페르시안
- 메인쿤
- 시암 

 

 

나이와 건강 상태


[국제 고양이 수의사 협회(ISFM)](https://icatcare.org/)에 따르면 다음 요인들이 치주질환 위험을 증가시킵니다:

 

- 고령 (특히 7세 이상)
- 면역력 저하
- 당뇨병 등 기저질환
- 부적절한 영양 섭취

 

 

 

 

3. 반려인이 알아차릴 수 있는 증상들


고양이 치주질환의 초기 증상은 미묘할 수 있지만, 다음과 같은 징후에 주의해야 합니다:

 


*구강 관련 증상

- 구취(입냄새): 가장 흔하고 눈에 띄는 증상
- 빨간색 또는 부어오른 잇몸
- 치아에 갈색 또는 노란색 얼룩
- 잇몸선 후퇴
- 치아 흔들림

 


*행동 변화

- 한쪽으로만 씹는 행동
- 딱딱한 사료를 피함
- 식욕 감소
- 과도한 침 흘림
- 입을 만지는 것을 극도로 싫어함

 

 


고양이가 이런 증상을 보이면 즉시 수의사 진료를 받아야 합니다. 2023년 발표된 [미국 수의사협회(AVMA)](https://www.avma.org/) 연구에 따르면, 초기 치주질환 징후를 보이는 고양이의 약 85%가 적절한 개입 없이 중증으로 진행한다고 합니다.

 

 


4. 치주질환의 단계별 진행 과정


치주질환은 일반적으로 네 단계로 구분됩니다:

 


1단계: 치은염(Gingivitis)
- 잇몸 가장자리 경미한 염증
- 약간의 붉은 선이 치아와 잇몸 경계에 나타남
- 완전히 가역적인 단계

2단계: 초기 치주염
- 잇몸뿐만 아니라 치주인대 감염 시작
- 치아-잇몸 연결의 최대 25% 손상
- 일부 비가역적 손상 시작

3단계: 중등도 치주염
- 치아-잇몸 연결의 25-50% 손상
- 치아 뿌리 노출 시작
- 뚜렷한 통증과 불편함

4단계: 중증 치주염
- 치아-잇몸 연결의 50% 이상 손상
- 심각한 잇몸 후퇴
- 치아 흔들림, 농양 형성 가능
- 치아 상실 위험 높음

 

 

 


[캘리포니아 수의대학](https://www.vetmed.ucdavis.edu/) 치과부서의 연구에 따르면, 치주질환은 적절한 치료 없이 1-3년 이내에 초기 단계에서 진행된 단계로 빠르게 발전할 수 있습니다.

 

 


5. 치주질환이 고양이 건강에 미치는 영향


치주질환의 영향은 구강에만 국한되지 않습니다:

 


전신 건강 영향

- 심장 질환: 구강 내 박테리아가 혈류로 들어가 심내막염 위험 증가
- 신장 질환: 만성 염증이 신장 기능 저하에 기여
- 간 문제: 구강 감염이 간 염증 유발 가능
- 당뇨병 악화: 감염과 염증이 혈당 조절을 방해

 


2024년 발표된 [수의학 저널(Journal of Veterinary Medicine)](https://onlinelibrary.wiley.com/journal/19391676)의 연구에 따르면, 중증 치주질환이 있는 고양이는 그렇지 않은 고양이보다 심장 질환 발생률이 약 1.6배 높은 것으로 나타났습니다.

 

 


삶의 질 저하

 

- 만성 통증으로 인한 식욕 감소
- 체중 감소 및 영양 결핍
- 활동성 감소
- 전반적인 행복감 저하

 

 

 


6. 예방을 위한 일상 관리법

 

 

정기적인 치아 관리


- 양치질: 고양이용 칫솔과 치약으로 이상적으로는 매일 양치
- 치과용 간식: 특수 설계된 치석 제거 간식 활용
- 구강 세정제: 수의사 승인 제품으로 물에 희석하여 사용

 

식이 조절


[로얄 수의학 협회(RCVS)](https://www.rcvs.org.uk/)의 권장사항:


- 건식 사료 병행: 습식 사료만 먹이는 것보다 치석 형성 감소에 도움
- 치과 건강 포뮬레이션 사료: 특수 설계된 크기와 질감으로 치석 제거 지원
- 잘못된 간식 피하기: 부드럽고 끈적이는 간식은 치태 축적 촉진

 

 

정기 검진

 

- 최소 6개월마다 수의사 구강 검진
- 연 1회 이상 전문적인 치석 제거 고려

 

 

 


7. 전문적인 치료 방법과 비용

 

 

수의사 치과 시술

 

- 전문 치석 제거(스케일링): 마취 하에 진행, 치아 표면과 잇몸 아래 치석까지 제거
- 치근 활택술: 치아 뿌리 표면의 불규칙성 제거
- 발치: 심하게 손상된 치아 제거
- 항생제 치료: 감염 통제를 위한 국소 또는 전신 항생제

 

비용 고려사항

 

치료 비용은 지역과 병원에 따라 다르지만, 일반적인 범위는:


- 기본 검진: 3-5만 원
- 치석 제거 및 세척: 20-40만 원
- 발치 포함 시술: 40-80만 원 이상

 

 


**중요**: 대부분의 반려동물 보험이 정기적인 치과 관리는 보장하지 않으므로, 별도 보장 옵션 확인 필요

 

 

 

8. 치주질환에 관한 흔한 오해들

 


오해 1: "고양이는 자체적으로 치아를 관리합니다"

▽▼▽▼▽▼▽▼▽▼
사실: 야생 고양이도 치주질환에 시달립니다. 가정에서 기르는 고양이는 야생의 식이를 하지 않기 때문에 더 취약할 수 있습니다.

 



오해 2: "노령 고양이의 치아 손실은 자연스러운 현상입니다"

▽▼▽▼▽▼▽▼▽▼
사실: 적절한 관리를 받은 고양이는 노년기에도 대부분의 치아를 유지할 수 있습니다. 치아 손실은 질병의 결과이지 정상적인 노화 과정이 아닙니다.

 


오해 3: "마취 없이 치석 제거가 더 안전합니다"

▽▼▽▼▽▼▽▼▽▼
사실: [미국 수의치과협회](https://avdc.org/)에서는 마취 없는 치과 시술을 권장하지 않습니다. 표면적인 치석만 제거하고 잇몸 아래 문제를 해결할 수 없어 고양이에게 스트레스만 줄 수 있습니다.

 

 

 

결론

고양이 치주질환은 매우 흔하지만 예방 가능한 문제입니다. 정기적인 구강 관리와 수의사 검진을 통해 반려묘의 평생 구강 건강을 유지할 수 있습니다. 구강 건강은 전체 건강과 직결된다는 점을 기억하세요. 작은 노력으로 반려묘의 더 행복하고 건강한 삶을 지원할 수 있습니다.

 

 

 

 


오늘부터 반려묘의 이를 살펴보고 구강 관리 루틴을 시작해 보는 건 어떨까요? 여러분의 관심과 케어가 고양이의 삶의 질을 크게 향상할 수 있습니다.

 

 

 

 

 


[참고문헌]
1. 미국 수의치과협회(AVDC) 고양이 구강건강 가이드라인(2023)
2. 국제 고양이 수의사 협회(ISFM) 치주질환 연구 보고서(2024)
3. Journal of Veterinary Dentistry(2023): "치주질환과 전신질환의 연관성"
4. Cornell University College of Veterinary Medicine: "고양이 구강건강 백서"